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ETF 추천
- faang
- tsmc
- 2차전지
- IRP ETF
- 미국주식
- CJ제일제당
- qqq
- GCP
- lit
- 2차전지 etf
- SOXX
- 클라우드 주식
- 네이버
- Tiger미국나스닥100
- 배터리 ETF
- S&P500
- 2차전지ETF
- 나스닥100
- TQQQ
- etf
- 삼성전자
- 연금ETF
- Spy
- ETF추천
- 반도체 ETF
- IRP
- Tiger미국S&P500
- SOCL
- BBIG
- Today
- Total
목록수퍼사이클 (2)
말해보시개의 재테크 Story

Summary 삼성전자의 2020년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성장하였다는 점이 긍정적이며, 전 분기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된 점은 계절성 요인으로 판단됨 CE, DS 부문은 매출 실적이 성장 하였으나, IM, Harman의 매출이 전년대비 역성장 하였다는 점은 우려되는 부분 2021년 5G 휴대폰 교체 수요로 인한 모바일 DRAM 메모리 수요증가, 데이터센터 메모리 교체 주기 도달로인해 서버 DRAM 수요 증가 요인으로 DRAM 호황이 있을 것으로 기대됨 2020년 4분기 실적발표에서는 Harman의 존재감이 아직까지 느껴지지 않아 아쉬움 1. 삼성전자 전사 손익 분석 매출 실적 2020년 연간 매출(2020.01~2020.12) 236.81조원 달성(YOY +2.78%) 2020년 4분기 분..

Summary 삼성전자는 CE, IM, DS, Harman 4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 중 DS 부문의 반도체 사업이 가장 큰 영업이익을 차지함 삼성전자는 메모리 업계에서 DRAM, NAND 세계 점유율 1등, Foundary 업계에서 세계 2등으로 굉장히 잘 나가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임. 가치평가는 2020/12(E) 기준 PER 19.48, PBR 1.95, EV/EBITDA 6.39 모두 최근 5개년 중 가장 비싼 수준임. 메모리 사업부의 DRAM의 수퍼사이클이 돌아오고 있다는점, 비메모리 사업의 파운더리 시장 확대를 주요 투자 근거로 함. 중국의 반도체 굴기, TSMC와의 경쟁, 역사적으로 높은 밸류에이션의 위험요인이 있음. 1. 회사소개 1) 부문별 주요 제품 삼성전자는 4개 사업 부문(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