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해보시개의 재테크 Story

[삼성전자 종목분석]20.4Q 삼성전자 실적발표 리뷰 본문

한국주식 분석

[삼성전자 종목분석]20.4Q 삼성전자 실적발표 리뷰

말해보시개 2021. 2. 20. 20:22

Summary

  • 삼성전자의 2020년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성장하였다는 점이 긍정적이며, 전 분기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된 점은 계절성 요인으로 판단됨
  • CE, DS 부문은 매출 실적이 성장 하였으나, IM, Harman의 매출이 전년대비 역성장 하였다는 점은 우려되는 부분
  • 2021년 5G 휴대폰 교체 수요로 인한 모바일 DRAM 메모리 수요증가, 데이터센터 메모리 교체 주기 도달로인해 서버 DRAM 수요 증가 요인으로 DRAM 호황이 있을 것으로 기대됨 
  • 2020년 4분기 실적발표에서는 Harman의 존재감이 아직까지 느껴지지 않아 아쉬움 

 

1. 삼성전자 전사 손익 분석 

  • 매출 실적
    • 2020년 연간 매출(2020.01~2020.12) 236.81조원 달성(YOY +2.78%)
    • 2020년 4분기 분기 매출(2020.09~2020.12) 61.55조원 달성(YOY +2.78%, QOQ -8.07%)    
  • 영업이익 실적
    • 2020년 연간 영업이익(2020.01~2020.12) 35.99조원(YOY +29.60%), 영업이익률 15.2%(YOY +3.1% Point)달성
    • 2020년 4분기 분기 영업이익(2020.09~2020.12) 9.05조원(YOY +26.39%, QOQ -26.72%), 영업이익률 14.7% 달성
  • 말해보시개's Comment
    • 2020년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성장하였다는 점이 긍정적이며, 전 분기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된 점은 계절성 요인으로 판단됨

삼성전자 제공

 

 

2. 삼성전자 사업군별 매출 및 영업이익

  • 1) 매출 
    • CE 부문 
      • 2020년 연간 매출 실적(2020.01~2020.12) 48.17조원(YOY +3%)
      • 2020년 4분기 분기 매출 실적(2020.09~2020.12) 13.61조원(YOY +6%, QOQ -3%) 
    • IM 부문
      • 2020년 연간 매출 실적(2020.01~2020.12) 99.59조원(YOY -7%)
      • 2020년 4분기 분기 매출 실적(2020.09~2020.12) 22.34조원(YOY -10%, QOQ -27%)
    • DS 부문
      • 2020년 연간 매출 실적(2020.01~2020.12) 95.52조원(YOY +8%)
      • 2020년 4분기 분기 매출 실적(2020.09~2020.12) 27.92조원(YOY +13%, QOQ +8%)
    • Harman 
      • 2020년 연간 매출 실적(2020.01~2020.12) 9.18조원(YOY -9%)
      • 2020년 4분기 분기 매출 실적(2020.09~2020.12) 2.92조원(YOY +7%, QOQ -12%)
  • 2) 영업이익
    • CE 부문
      • 2020년 연간 영업이익 실적(2020.01~2020.12) 3.56조원(YOY +1.05조원)
      • 2020년 4분기 분기 영업이익 실적(2020.09~2020.12) 0.82조원(YOY +0.03조원, QOQ -0.74조원)
    • IM 부문
      • 2020년 연간 영업이익 실적(2020.01~2020.12) 9.27조원(YOY +2.20조원)
      • 2020년 4분기 분기 영업이익 실적(2020.09~2020.12) 2.42조원(YOY -0.10조원, QOQ -2.03조원)
    • DS 부문
      • 2020년 연간 영업이익 실적(2020.01~2020.12) 15.58조원(YOY +5.52조원)
      • 2020년 4분기 분기 영업이익 실적(2020.09~2020.12) 5.63조원(YOY +1.97조원, QOQ -0.41조원)
    • Harman 
      • 2020년 연간 영업이익 실적(2020.01~2020.12) 0.06조원(YOY -0.27조원)
      • 2020년 4분기 분기 영업이익 실적(2020.09~2020.12) 0.18조원(YOY +0.06조원, QOQ +0.03조원)
    • 말해보시개's comment
      • CE, IM, DS 3개 부문 모두 연간 영업이익이 성장한 면은 긍정적으로 보임.
      • 다만, IM 부문의 연간 매출이 역성장 하였다는 점, Harman이 아직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매출, 영업이익의 역성장을 보여주었다는 점은 우려됨 

삼성전자 제공

 

3. 사업군별 4Q 실적 및 향후 전망

  • 반도체 
    • 2020년 4분기 실적
      • 메모리 사업은 모바일 중심의 수요가 견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달러/원 환율 하락, 신규 FAB 초기비용으로 실적이 하락하였음. 
    • 2021년 1분기 전망
      • 메모리 사업은 5G 확산, 데이터 센터 수요의 회복의 긍정적인 요인이 있으며, 달러 약세와 신규 FAB 초기비용이 지속된다는점은 실적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보임
      • 파운드리 사업은 EUV 5나노 공정을 활용한 양산이 확대됨
    • 2021년 연간 전망
      • 메모리 사업은 5G 휴대폰의 확산으로 인해 DRAM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상반기 내 업황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됨
      • 파운드리 사업은 EUV 공정 수요의 적극 대응, 응용처 다변화 지속을 통해 미래 성장기반을 확보할 것임. 
    • 말해보시개's Comment 
      • 삼성전자 메모리 사업부는 DRAM 호황으로 21년 호실적을 달성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5G 휴대폰이 기존 휴대폰보다 DRAM을 50%정도 더 장착하게 되며, 이는 DRAM의 수요를 증가하게 하는 요인임
        • 최근 구글(GCP), 아마존(AWS), 마이크로소프트(Azure) 등 데이터 센터의 교체 주기가 도달하여 서버 메모리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삼성전자 파운더리 사업부는 TSMC와 함께 EUV 장비를 적용한 미세공정을 구현할 수 있는 전세계 손 꼽히는 기업이며, 장기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기대됨.     

삼성전자 제공

 

  • IM
    • 2020년 4분기 실적
      • 무선사업부: 연말 경쟁심화로 인해 매출 감소  
      • N/W: 국내 5G 증설 대응, 해외 4G/5G 시장 확대로 실적이 개선됨
    • 2021년 1분기 전망
      • S21 플래그십 모델 판매 확대를 통해 ASP 상승, 매출/이익 개선 전망
    • 2021년 연간 전망 
      • S21 확판, 폴더블 대중화 추진 등 플래그십 모델 경쟁력 확보 
      • 중저가 5G 교체 수요 흡수 
    • 말해보시개's Comment 
      • 2020년 IM 부문의 연간 매출이 역성장 하였으나, 2021년에는 무선사업부에서 혁신적인 플래그십 모델(폴더블폰) 대중화, 중저가 모델 확대 등으로 더욱 약진하길 기대함. 
      • 삼성전자의 중저가 모델의 경쟁력에 대해 한번 조사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 같음.

삼성전자 제공

4. 말해보시개's Comment 종합 

  • 삼성전자의 주요 투자 근거는 1) 메모리 반도체 호황 2) 파운드리 산업 호황, 3) Harman 사업의 잠재력 3가지임. 주요 투자 근거 3가지 요인이 잘 유지되고 있는지 Check함
  • 1) 메모리 반도체 호황 Check: Good
    • 삼성전자는 2021년 모바일/서버 수요 견조세에 따른 상반기 내 업황 회복이 기대된다고 기술하였음. 
    • 5G 휴대폰은 기존 휴대폰에 비해 DRAM이 최대 50%정도 더 필요하며, 이는 모바일 DRAM의 수요 증가를 발생시킬 것임
    •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센터 메모리 교체 주기가 도달하였으며, 이는 서버 DRAM의 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함.  
  • 2) 파운드리 산업 호황: Good
    • 삼성전자는 2021년 선단 공정(EUV 공정) 수요 적극 대응, 응용처 다변화를 지속하여 미래성장 기반 확보 하겠다고 기술하였음. 
    • EUV 장비를 사용하여 미세공정 제조가 가능한 기업은 TSMC와 삼성전자 뿐이며, 미세공정에 대한 파운더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됨
  • 3) Harman 사업의 성장 Check: Soso
    • Harman은 디지털 콕핏 제품을 주로 제조하는 사업으로, 전기차, 자율주행 자동차등의 성장에 따라 함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Harman의 2020년 연간 매출은 9.18조원(YOY -9%), 2020년 4분기 분기 매출은 2.92조원(YOY +7%, QOQ +12%) 달성. 연간 매출액 기준으로 역성장
    • Harman의 2020년 연간 영업이익은 0.06조원(YOY -0.2조원), 2020년 4분기 분기 영업이익은 0.18조원(YOY +0.06조원, QOQ +0.03조원)달성.
    • 신성장 사업이지만 아직 가시적인 실적은 보여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임.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