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IRP ETF
- 미국주식
- S&P500
- BBIG
- etf
- TQQQ
- 클라우드 주식
- 반도체 ETF
- lit
- Tiger미국S&P500
- 2차전지
- SOCL
- 2차전지ETF
- faang
- 연금ETF
- SOXX
- Spy
- Tiger미국나스닥100
- 나스닥100
- tsmc
- 배터리 ETF
- qqq
- 삼성전자
- CJ제일제당
- GCP
- IRP
- ETF 추천
- 네이버
- 2차전지 etf
- ETF추천
Archives
- Today
- Total
말해보시개의 재테크 Story
[코스피, S&P 500 비교 분석]한국 주식 시장 vs 미국 주식 시장 본문
Summary
- 최근 10년(2010~2020년)동안 한국 코스피는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한 반면, 미국 S&P500 지수는 아름다운 우상향 모습을 보여주어, 많은 투자자들이 한국보다는 미국시장에 투자하여야 한다 라고 주장을 함.
- 이러한 주장을 검증하기 위하여, 미국에 상장된 한국(EWY)과 미국(SPY) 시장의 지수를 반영하는 대표 ETF를 백테스팅하여, 비교분석 하였음
- 최근 10년(2010~2020년)동안은 SPY가 더 높은 수익률을 보여 주었으나 최근 20년(2000~2020년) 동안을 모두 고려하면 EWY의 수익률이 더 높았으며, 전반적인 변동성은 EWY가 더 컸음
- 수익률은 좋으나 변동성이 크고 비효율적인 시장인 한국에는 개별종목을 분석하여 투자 하는 것이 좋아보이며, 변동성이 적은 미국시장은 효율적인 시장이므로 지수(SPY 등)ETF에 투자해도 좋을 것으로 판단됨
1. 한국 박스피
- 한국 대표 지수인 코스피는 2010~2019년까지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며, 수익을 내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줌
- 이런 이유로, 코스피는 박스피이며 한국 주식에 투자하면 안된다라고 하는 비판이 제기됨.
2. 미국 S&P500
- 미국 대표지수인 S&P 500은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는 것으로 보임
- 특히, 최근 10년간(2010~2020)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어, 박스권인 한국시장보다는 미국시장에 투자하는 것이 진리다 라고 이야기하는 분들이 많이 있음.
3. 코스피 vs S&P500 수익률 분석
- Portfolio Visualizer Back Test에서 접근 가능한 ETF를 선정하여 백테스트함
- Portfolio 1: 미국 ETF, SPY(SPDR S&P 500 ETF Trust)
- Portfolio 2: 한국 ETF, EWY(iShares MSCI South Korea ETF)
1) 최근 10개년 비교 분석
- 2010.1 ~ 2020.11 기간 동안 백테스트 함
- 2020.12 까지 포함하여 백테스트 하면 좋을텐데, portfolio visualizer에서 위의 기간까지만 분석 가능
- 2010.1 $10,000을 SPY에 투자하였으면, 2020.11 기준 $40,273의 자산이 됨
- 2010.1 $10,000을 EWY에 투자하였으면, 2020.11 기준 $18,688의 자산이 됨
- 최근 10년 동안은 한국보다 미국에 투자 하는게 훨씬 높은 수익을 얻었을 것.
- CAGR(연간 복리수익률): SPY(13.61%) > EWY(5.90%)
- Stdev(변동성): SPY(14.05%) < EWY(22.17%)
- Max. Drawdown(최대 하락치): SPY(-19.43%) > EWY(-37.90%)
- Sharpe Ratio(변동성 대비 수익률): SPY(0.94) > EWY(0.34)
- 백테스트 분석 결과, SPY가 EWY에 비해 연간 복리수익률이 좋고, 변동성이 적으며, 최대 하락치도 적음. 즉, 모든 측면에서 우월한 투자처로 분석됨.
- 다만, EWY(33.53%)가 최근 1년 동안의 수익률은 SPY(17.46%)에 비해 더 우월한 것으로 보임.
2) 최근 20개년 비교 분석
- 2000.1 ~ 2020.11 기간 동안 백테스트 함
- 2020.12 까지 포함하여 백테스트 하면 좋을텐데, portfolio visualizer에서 위의 기간까지만 분석 가능
- 2000.1 $10,000을 SPY에 투자하였으면, 2020.11 기준 $40,315의 자산이 됨
- 2000.1 $10,000을 EWY에 투자하였으면, 2020.11 기준 $77,592의 자산이 됨
- 최근 20년 동안 투자했다면, 미국보다 한국의 수익률이 더 높았을 것
- CAGR(연간 복리수익률): SPY(7.25%) < EWY(10.84%)
- Stdev(변동성): SPY(15.07%) < EWY(28.37%)
- Max. Drawdown(최대 하락치): SPY(-50.80%) > EWY(-70.13%)
- Sharpe Ratio(변동성 대비 수익률): SPY(0.45) <= EWY(0.46)
- 백테스트 분석 결과, 수익률을 EWY가 더 좋았지만, 변동성 역시 EWY가 더 컸음. 변동성 대비 수익률은 SPY, EWY 동등 수준임
- 그래프를 보면 EWY는 2000 ~ 2010 까지의 수익률이 좋고, SPY는 2010 ~ 2020 수익률이 좋아 보임
- 2008 금융 위기에 EWY(Portfolio 2)가 더 크게 하락함
4. 결론
- 변동성 측면에선 EWY(한국ETF)가 SPY(미국ETF)가 더 크다. 변동성이 크면, 장기 투자할때 심리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해 불리함.
- 한국 ETF가 더 변동성이 큰 것으로 보아, 미국시장에 비해 한국시장이 더 효율적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됨
- 수익률 측면에선 20년 기간동안 EWY(한국 ETF)가 SPY(미국 ETF)에 비해 더 컸음
- 2010~2020 기간은 SPY가 잘 나감
- 2000~2010 기간은 EWY가 잘 나감
- 수익률은 좋으나 변동성이 크고 비효율적인 시장인 한국에는 개별종목을 분석하여 투자 하는 것이 좋아보임
- 변동성이 적은 미국시장은 효율적인 시장이므로 지수(SPY 등)ETF에 투자해도 좋을 것으로 판단됨
'기타 유용한 투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투자 ETF로 하는 법(feat. 해외ETF 세금아끼기) (2) | 2021.04.03 |
---|---|
[세테크, 연말정산] 2021년 개정된 ISA를 활용하여, 세금혜택 100% 받는법 (0) | 2021.02.28 |
[세테크, 연말정산] 연금저축펀드와 IRP를 해야 하는 이유 (2) | 2021.01.0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