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나스닥100
- BBIG
- ETF추천
- CJ제일제당
- tsmc
- faang
- 클라우드 주식
- qqq
- 반도체 ETF
- lit
- SOCL
- etf
- 2차전지ETF
- GCP
- Tiger미국나스닥100
- S&P500
- 2차전지 etf
- IRP
- TQQQ
- 삼성전자
- 2차전지
- 배터리 ETF
- 미국주식
- IRP ETF
- 네이버
- 연금ETF
- SOXX
- Tiger미국S&P500
- Spy
- ETF 추천
- Today
- Total
말해보시개의 재테크 Story
삼성전자 주가 전망: 삼성전자 펀더멘탈 좋지만, SK하이닉스가 더 싸다 본문
삼성전자 주가 전망: 삼성전자 펀더멘탈 좋지만, SK하이닉스가 더 싸다

INTRO
최근 반도체 가격 하락 우려로 삼성전자의 주가가 많이 하락하였습니다.
2021년 10월 1일기준 고점(96,800) 대비 24.38%가 하락하였는데요.
SK하이닉스는 무려 동기간 동안 50.50% 하락하였으며, 마이크론 역시 많이 하락하였습니다.
삼성전자의 주가가 떨어진 만큼, 더 떨어지기 전에 지금이라도 팔아야 하는지 혹은 가격이 싸니까 지금 사야하는지 많이 논란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의 펀더멘탈을 살펴보고, 현시점 적정주가 대비 저평가 매력이 있는지, 가치평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자 펀더멘탈 및 적정 주가: BPS & PBR
삼성전자 BPS
BPS란 Book-value Per Share의 약자로 주당순자산가치를 의미합니다. BPS가 클수록 주당 순자산이 크다는 의미로 펀더멘탈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삼성전자 BPS 차트
연도 삼성전자 BPS 2017 28,126 2018 35,642 2019 37,528 2020 39,406 2021(추정) 42,609
# 삼성전자 BPS 트렌드 분석
2017년 ~ 2021년 10월 1일 기간동안 삼성전자의 BPS를 살펴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우상향 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BPS가 증가한다는 것은 부채를 제외한 회사의 순자산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펀더멘탈이 좋아진다 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삼성전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순자산이 증가하는, 장기투자하기 좋은 기업이라고 판단됩니다.
# 삼성전자 PBR 차트 분석
PBR은 Price to Book-value Ratio의 약자로 주가순자산 비율을 의미합니다. 주가가 그 기업의 순자산의 몇배에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PBR이 클수록 고평가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2017년 ~ 2021년 10월1일 기간동안의 PBR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삼성전자는 2018년 D램 수퍼사이클 기간에 PBR 2.03 고점을 기록하였고, 2019년 D램 다운턴 기간에 PBR 1.03을 기록하였습니다.
기술통계 | 값(PBR) |
Weeks | 58 |
평균 | 1.48 |
표준편차 | 0.26 |
최솟값 | 1.03 |
25분위수 | 1.29 |
50분위수 | 1.40 |
75분위수 | 1.70 |
최댓값 | 2.03 |
# 삼성전자 PBR 통계 분석
2017년 ~2021년 10월1일 기간동안의 삼성전자 PBR 통계를 살펴보겠습니다.
총 58주 동안의 통계를 살펴본 결과, 삼성전자는 최대 2.03, 최소 1.03, 평균 1.48의 PBR을 기록하였습니다.
2021년 10월 1일기준 삼성전자는1 PBR 1.72 로, 평균 PBR 1.48보다 높은 상황입니다.
PBR이 높다는 것은 고평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삼성전자 적정주가 가치평가
적정주가=BPS*PBR
삼성전자의 2021년 추정 BPS와 역대 PBR 통계를 기반으로 적정주가를 산출해 보겠습니다.
- 2021년 삼성전자 추정 BPS = 42,609원
- PBR 평균: 1.48, PBR 최솟값: 1.03, PBR 최댓값: 2.03
BPS | PBR | 적정주가(BPS*PBR) | |
비관적 가치평가 | 42,609원 | 1.03 | 43,887원 |
평균적 가치평가 | 42,609원 | 1.48 | 63,061원 |
낙관적 가치평가 | 42,609원 | 2.03 | 86,496원 |
BPS & PBR 기반 삼성전자 가치평가 결과
삼성전자는 43,887원(비관적), 63,061원(평균), 86,496원(낙관적)의 적정가격을 보여줍니다.
삼성전자 펀더멘탈 및 적정 주가: EPS & PER
삼성전자 EPS
EPS란 Earning Per Share의 약자로 주당순이익을 의미합니다. EPS는 회사가 1년동안 번 당기순이익을 1주 단위로 계산하였을때의 값입니다. EPS가 클 수록 많은 순이익을 벌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연도 | 삼성전자 EPS |
2017 | 5,997원 |
2018 | 6,461원 |
2019 | 3,166원 |
2020 | 3,841원 |
2021(추정) | 5,818원 |
# 삼성전자 EPS 트렌드 분석
2017년 1월 ~ 2021년 10월 1일 동안 삼성전자의 EPS를 살펴보면, D램 가격 사이클에 따라 실적이 들쭉 날쭉한것을 알수 있습니다.
2017년 ~ 2018년 D램 수퍼사이클 기간에 EPS 최고치를 달성하였고 2019년 D램 다운사이클 기간에 최저 EPS기록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SK하이닉스도 마찬가지 입니다.
EPS가 증가하면 기업의 순이익이 증가하여 기업가치도 함께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삼성전자는 EPS가 들쭉날쭉하기 때문에, EPS만을 기반으로한 가치평가보다는 BPS 기반으로한 가치평가를 함께 고려하는 방법이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주가수익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주가가 그 기업의 1주당 수익의 몇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이 클수록 고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삼성전자 PER 트렌드 분석
동기간동안 삼성전자의 PER 트렌드를 살펴보겠습니다.2017~2018년 D램 수퍼사이클 기간동안 높은 EPS를 달성하여 PER이 낮았고, D램 다운턴 시기인 2019년 부터 높은 수준의 PER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술통계 | 값(PER) |
Weeks | 58 |
평균 | 11.44 |
표준편차 | 3.49 |
최솟값 | 6.03 |
25분위수 | 7.71 |
50분위수 | 13.24 |
75분위수 | 14.28 |
최댓값 | 17.68 |
# 삼성전자 PER 통계 분석
동기간동안 삼성전자의 PER 통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총 58주 동안 삼성전자 PER의 평균은 11.44, 최솟값 6.03, 최댓값 17.68을 기록하였습니다.
2021년 10월 1일 기준, 삼성전자의 PER는 12.59로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적정주가 가치평가
적정주가 = EPS * PER
EPS | PER | 적정주가(EPS*PER) | |
비관적 가치평가 | 5,818원 | 6.03 | 35,082원 |
평균적 가치평가 | 5,818원 | 11.44 | 66,557원 |
낙관적 가치평가 | 5,818원 | 17.68 | 102,862원 |
삼성전자의 2021년 추정 EPS와 역대 PER 통계를 기반으로하여 적정주가를 산정하였습니다.
- 2021년 추정 EPS = 5,818원
- PER평균: 11.44, PER 최소 6.03, 최대: 17.68
삼성전자의 가치평가를 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35,082(비관적), 66,557(평균), 102,862원(낙관적)
삼성전자 주가 전망: 목표주가 대비 저평가지만, SK하이닉스가 더 싸다.
삼성전자 적정주가 가치평가 종합
가치평가 2가지 방법을 통해 삼성전자의 적정주가를 추산하였습니다.
- 1) 적정주가 = BPS * PBR: 43,887원(비관적), 63,061원(평균), 86,496원(낙관적)
- 2) 적정주가 = EPS * PBR: 35,082원(비관적), 66,557원(평균), 102,862원(낙관적)
삼성전자가 DRAM, NAND 모두 1위이고, 비메모리 파운더리 포텐셜이 있다는 프리미엄을 통해 낙관적 가치평가로 목표주가를 산정해 보겠습니다.
최종 적정주가는 두가지 방법으로 산출된 낙관적 가치평가를 통해 계산하였습니다.
최종 적정주가 = 94,679원 = (86,496원+102,862원) / 2
# 그렇지만, SK하이닉스가 더 싸다.
2021년 10월 1일 기준 삼성전자의 주가가 73,200원, SK하이닉스의 주가는 100,000원입니다.
같은 방법으로 적정주가를 추산하면, SK하이닉스의 저평가 매력이 더 크다고 판단됩니다.
반도체 DRAM의 성장에 초점을 맞춘다면 저평가 매력이 더 큰 SK하이닉스에, 비메모리 파운드리의 포텐셜 까지 고려한다면 삼성전자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SK하이닉스의 적정주가 판정 관련 내용이 궁금하시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2021.10.03 - [한국주식 분석] - SK하이닉스 주가: 펀더멘탈로 살펴본 적정주가, 저가 매수 구간

같이 보시면 좋아요.
2021.09.13 - [한국주식 분석] - 삼성전자 주가전망, 2021.2Q 실적분석
삼성전자 주가전망, 2021.2Q 실적분석
삼성전자 주가전망, 2021.2Q 실적분석 삼성전자 전사 손익 분석 삼성전자의 2021년 2분기 전사 실적입니다. 매출: 62.67조원(+yoy 18.31%) 영업이익: 12.57조원(+yoy 54.23%) 영업이익률: 19.7%(+yoy 5.4%..
malhaebosigae.tistory.com
2021.03.21 - [미국ETF] - SOXL ETF, 반도체 3배 레버리지 ETF
SOXL ETF, 반도체 3배 레버리지 ETF
1. SOXL ETF 소개 SOXL ETF는 반도체 3배 레버리지 ETF입니다. 1배 반도체 상품으로 SOXX가 있으며, SOXX와 SOXL은 엔비디아, 퀄퀌과 같은 비메모리 팹리스 기업, TSMC와 같은 파운더리 기업, 마이크론 메모리
malhaebosigae.tistory.com
2021.04.09 - [한국ETF]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ETF,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에 투자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ETF,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에 투자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ETF,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에 투자 안녕하세요. 말해보시개입니다. 최근 비메모리 반도체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보다 더 큰
malhaebosigae.tistory.com
포스팅 내용이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과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한국주식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J 제일제당 주가 전망: 판가인상에 따른 수익개선 기대[목표주가 506,000원, 상승여력 26%] (1) | 2021.10.12 |
---|---|
SK하이닉스 주가: 펀더멘탈로 살펴본 적정주가, 저가 매수 구간 (0) | 2021.10.03 |
삼성전자 주가전망, 2021.2Q 실적분석 (0) | 2021.09.13 |
CJ제일제당 주가전망, 2021.2Q실적분석 (1) | 2021.09.11 |
카카오 주가전망, 실적리뷰와 투자포인트 (2) | 2021.03.30 |